.jpg)

Conference Papers
* Corresponding Author
Italicized: student authors
2025
Yang, S. & Yang, H. (2025, February 20-22). Understanding Short-Form Video Addiction: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Motivations, AI-Driven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Denver, CO, United States.
Yang, S., Min, H., Kim, E., Kim, D., Lane, A., Han, D., Choi, H., Kim, J., Kim, O., & Narayan, A. (2025, May 1-3).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Original vs. Revised Benevolent Childhood Experience (BCE) Scale in Korea. The Society of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ineapolis, MN, United States.
Oh, S., Sim, H., & Yang, S. (2025, February 20-22).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eraction Styles on User Satisfaction in Prompt Engineering: The Role of Linguistic Tones in Prompts.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Denver, CO, United States.
Kim. D., Min, H., Kim, E., & Yang, S. (2025, February 20-22). Latent Class Analysis of Suicide Risk Factors: Analyzing Associations with Warning Signs, Suicidal Attempts, and Self-Harm Behaviors.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Denver, CO, United States.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김규리, 강예모, 양수진 (2025). 결혼 장벽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지윤, 최효선, 양수진 (2025). 출산 결정 지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지우, 양수진 (2025). 다차원 비혼주의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2024
Yang, S. & Kim, J. (2024, February 7-10). Exploring the impact of calling on profession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licensed clinical psychologists in Korea: The multiple Indicators multiple causes (MIMIC) model approach.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San Diego, CA, United States.
Kim, J. & Yang, S. (2024, February 7-10). Testing a Single-Session Growth Mindset Intervention for Social Anxiety in Kora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San Diego, CA, United States.
Kim, J., Bae, Y., & Yang, S. (2024, August 8-10). The Long-Term Impact of a Scholarship Program on Psychological Capital for Low-Income Undergraduates.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Seattle, CA, United States.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정다운, 김유니, 양수진(2024).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하은, 오서영, 양수진(2024). 챗GPT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사용자 만족도 및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장려상 수상]
고서연, 민현정, 김다운, 양수진(2024). 대학생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학부생 발표]
서지연, 김은주, 김다운, 양수진(2024). 저소득층 고등학생의 그릿(Grit)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매개효과. [학부생 발표]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은주, 민현정, 양수진(2024). 여대생의 부정 정서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불아 마인드셋에 의해 조절된 불안의 매개효과.
김다운, 강윤서, 양수진(2024). 죽음상실을 경험한 중년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의미재구성과 역경 후 성장 간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
2023
Kim, J. & Yang, S. (2023, August 3-5). Mindset of Anxiety Decreases Social Anxiety through Coping Flexibility and Perceived Control.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3, Washington, DC, United States.
Kim, J., Kim, H., Song, E., Jung, D., & Yang, S. (2023, June 1-4). Exploring the Effects of a Single-Session Mindset Intervention for Social Anxie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10th World Congres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ies, Seoul, Korea.
Yang, S. & Yang, H. (2023, February 23-25). Psychological, Social, and Relational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Ment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ssues during Middle Adulthood.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tlanta, GA, United States.
Han, H. & Yang, S. (2023, February 23-25).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dul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presence of meaning and grit.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tlanta, GA, United States.
Kim, H. & Yang, S. (2023, February 23-25). How Is Grit Formed? Structural Analyses of the Growth Process of Grit and its Relation to Meaning in Life.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tlanta, GA, United States.
Kim, J. & Yang, S. (2023, February 23-25). Examining the Effects of Grit and Passion o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s: using multiple group analys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nual Convention of Society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tlanta, GA, United States.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정다운, 정다은, 양수진 (2023). 대학생의 자아실현적 발전기대와 실패내성의 관계: 그릿에 의해 조절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선영, 강예모, 양수진 (2023). 상실 경험 중년의 향유신념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황예은, 최예라, 양수진 (2023). 중년의 그릿과 우울의 관계: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예본, 양수진 (2023). 부모소명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미취학 자녀와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다집단 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이지우, 김다운, 송은빈, 양수진 (2023). 임상심리 전문 인력의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일-삶에서의 적응.
정유진, 임성수, 양수진 (2023).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진로결과기대의 관계: 성장지향성과 그릿의 매개효과.
김유니, 정하은, 양수진 (2023).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한국형 그릿(K-GRIT)과 성장 마인드셋의 분류 및 정신적 안녕감과의 관계.
2022
Ha, H., Yang, H., & Yang, S. (2022, Novermber 17-20). Can Embodied Cognition Be Quickly Recalibrated? A study on the Impacts of Reading Direction Congruency on Memory Retrieval. 2022 Annual Meeting of Psychonomic Society, Boston, MA, United States.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정유진, 하효지, 양수진 (2022). 성인 진입기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장지향성의 매개효과.
김한샘, 박소영, 양수진 (2022). 한국형 그릿(K-GRIT) 척도의 하위요인 간 구조적 발달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
안태영, 양수진 (2022). 대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박서단, 양수진 (2022). 실패마인드셋 척도(The Failure Mindset Scale: FMS)의 개발과 타당화.
추계 발달심리학회
여예인, 임지영, 양수진 (2022). 미취학 아동 모의 부모 소명과 행복 간 관계에서 의미 추구에 의해 조절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황지민, 송은빈, 양수진 (2022). 부모소명 예측요인 탐색: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내적 특성과 부부 및 자녀와의 관계적 변인을 중심으로.
2021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곽호경, 조하나, 양수진 (2021).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김한샘, 진윤정, 최은진, 정지유, 양수진 (2021). 실패에 대한 인식과 신념은 전수되는가? 부모-자녀 간 실패 마인드셋의 관계에서 부모의 행복과 개방형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배유진, 양수진 (2021). 다중지표 다중원인(MIMIC)을 활용한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탐색.
배유진, 황지민, 하효지, 양수진 (202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에 의해 조절된 COVID-19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정다운,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조화열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목표전략적 몰입의 매개효과.
추계 발달심리학회
엄지원, 양재원, 양수진 (2021). 대학생의 그릿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기대의 매개효과와 물질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황지민, 여예인, 양수진 (2021). 중년 여성의 부모 소명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부모 효능감과 가족 응집성의 매개효과.
2020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김다혜, 오수진, 양수진 (2020).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목표인식특성과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 실패공포, 숙달접근목표의 매개효과.
김정은, 양수진 (2020). 그릿과 열정 간의 관계 및 변별: 다집단 분석을 이용한 비교문화연구.
김한샘, 정지인, 정난희, 정다운, 박서단, 정지유, 양수진 (2020).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학습 몰입 상황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
안치영, 박경진, 박서단, 정다운, 정지유, 양수진 (2020). 지각된 부모의 학업 압박기대와 대학생 자녀의 그릿(Grit)과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양수진 (2020). 그릿의 발달적 맥락 및 문화적 특성에 대한 연구.
정다운,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조화열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목표전략적 몰입의 매개효과.
진예민, 배유진, 안주현, 양수진 (2020). 대학생의 실패 특성,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대학생의 행복, 목표인식,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2019
Yang, H., Ng, W.Q., Hartanto, A. & Yang, S. (2019) The Impact of Media Consumption on Executive Attention during Early Childhood. Presented as a poster at 2019 Society of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 Biennial Meeting, March, 2019, Maryland, USA.
Yang, H., Ng, W.Q., Hartano, A., & Yang, S. (2019). The Impact of Bilingual Children’s Interactional Context of Conversational Exchanges on Attentional Control.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lingualism, June, 2019, Edmonton, Canada.
Yang, H., Toh, W. X., Hartanto, A., Nai, Z., & Yang, S. (2019). The Doubtful Link between Positive Affect, Moral Disengagement, and Dishonesty. Presented as a poster at 2019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SPSP) convention. February, 2019, Washington, DC., USA.
Yang, H. Ng, W.Q., & Yang, S. (2019).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ilingual Children’s Interactional Context on Executive Attention. Presented as a poster at Cognitive Science Society 2019, July, 2019, Montreal, Canada.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박수빈, 양수진 (2019).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열정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안태영, 양수진. (2019). 지각된 부모의 실패 마인드셋과 대학생의 그릿(Grit)의 관계: 부모의 학업기대와 대학생의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정다운,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조화열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목표전략적 몰입의 매개효과.
진예민, 김다혜, 양수진 (2019). 그릿-열정 마인드셋 유형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분석 : 집단별 심리특성 및 진로적응성 차이.
한혜원, 황예은, 양수진 (2019). 그릿(Grit)과 성실성의 차이: 부모양육 태도, 자기효능감, 행복감의 경로모형 분석.
추계 발달심리학회
박주하, 배유진, 양수진 (201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그릿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예림, 김예본, 양수진 (2019). 2세 미만 영아를 둔 어머니의 그릿과 연령 수준에 따른 양육열정, 산후우울, 주관적 안녕감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201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강문선, 양수진 (2018).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화·강박열정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김보미, 양수진 (2018). 대학생의 성격 특성, 열정, 정서적 행복, 그릿(Grit)의 구조적 관계.
양수진 (2018).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인지적 발달 특성: 해외 거주 아동을 중심으로.
이혜선, 양수진 (2018). 향유하기로 유도된 긍정정서가 주의확장과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가영, 양수진 (2018). 우울한 여대생의 의도적 망각에서의 간섭효과: 대체사고에 따른 기분 변화를 중심으로.
정미라, 송승아, 양수진 (2018). 유아의 문제행동이 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에의해 조절된 인지적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정미라, 한지은, 양수진 (2018). 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인지적·정서적 조절특성에 따른 군집유형 탐색과 자녀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정지혜, 류영주, 김정은, 최효선, 양수진 (2018).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삼원 그릿 척도(Korean-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타당화연구.
최서경, 탁진선, 박소정, 양수진 (2018). 대학생의 자율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추계 발달심리학회
안태영, 양수진 (2018). 그릿(Grit), 학업적 실패내성,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정지혜, 정수인, 양수진 (2018).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실패내성과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201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Choi, H. & Yang, S. (2017). Mediation effects by grit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2017, Seoul, Korea.
Kim, J., Lee, S., & Yang, S. (2017). Examining multidimensional grit based on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 and meaning in life.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2017, Seoul, Korea.
Ryu, Y., & Yang, S. (2017).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vs. other-oriented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2017, Seoul, Korea.
Yang, S., Hartanto, A. & Yang, H. (2017). The impact of bilingualism on task switching: Evidence from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Task.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2017, Seoul, Korea.
추계 발달심리학회
Kim, J., Ryu, Y., Choi, H., & Yang, S. (2017).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K-TMGS)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Developmental Psychology, November, 2017, Seoul, Korea.
2016
Yang, H., & Yang, S. (2016). The rol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dicting executive attention among Chinese-English bilingual children. 2016 Asia Joint Symposium on Reading and Spelling (EARAS), February, 2016, Seoul, Korea.
Yang, S. (2016). Bilingualism as a window into advantageous executive functioning. The Korean Society for Developmental Psychology, October, 2016,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