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Publications
* Corresponding Author
Italicized: student authors
2025
정다은, 양수진* (2025). 물질주의는 행복을 저해하는가? 대학생의 물질주의, 자기고양, 자기초월 가치와 행복의 관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22(2), 93-113.
정다은, 김유니, 여예인, 양수진* (2025).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인간발달연구, 32(2), 93-104.
정유진, 임성수, 하효지, 양수진* (2025).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진로결과기대의 관계: 성장지향성과 그릿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논총, 257-287.
김은주, 민현정, 양수진* (2025). 여대생의 부정 정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불안 마인드셋에 의해 조절된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30(2), 135-155.
강예모, 양수진* (202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그릿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85-119.
김유니, 양수진* (2025).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발달지원연구, 14(1), 101-123.
주혜민, 양수진* (2025). 미혼 여성 대상 한국판 출산태도 척도 (K-AFCS)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36.
2024
Yang, H., Yang, S.*, Yang, Y. & Tan, Q.Y.J. (2024). Multidimensional Predictors of Adolescents’ Nonacademic Digital Media Use in the U.S.: Insights from a Bio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18(2), 178-197.
이지우, 김다운, 송은빈, 양수진* (2024). 임상심리전문인력의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일과 삶에서의 적응. 사회과학연구논총, 40(2), 433-473.
여예인, 강예모, 임지영, 최예라, 양수진* (2024). 미취학 아동 모의 개인 내적 및 관계적 특성에 따른 부모소명과 행복의 차이: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아동학회지, 45(4), 397-411.
배유진, 양수진* (2024). 영유아용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발달, 37(1), 1-24.
박서단, 양수진* (2024). 실패마인드셋 척도(The Failure Mindset Scale: FMS)의 개발과 타당화. 발달지원연구, 13(1), 1-23.
박소정, 양수진* (2024).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에 따른 관계중독 성향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논총, 40(1), 159-181.
김한샘, 박소영, 양수진* (2024). 한국형 그릿(K-GRIT) 척도의 하위요인 간 구조적 예측경로와 삶의 의미와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21(2), 97-115.
한혜원, 김정은, 양수진* (2024).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행복 간의 기제 탐색: 그릿, 성실성 및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21(3), 111-131.
김유니, 정하은, 양수진* (2024).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에 따른 정신적 안녕감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지, 31(3), 57-71.
김정은, 배유진, 양수진* (2024). 장기적인 장학 지원을 받은 취약계층 대학생의 개인 적응적 및 사회 공헌적 특성 변화: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21(3), 41-60.
2023
Toh, W. X., Ng, W. Q., Yang, H., & Yang, S.* (2023).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smartphone screen time, checking frequency, and problematic use on executive func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Current Psychology, 42, 4225–4242.
Yang, H., Tng, G. Y., Ng, W. Q., & Yang, S. (2023). Bilingual profiles differentially predict executive functions during early childhood: A latent profile analysis.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1-14.
안태영, 양수진* (2023). 대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20(4), 107-130.
배유진, 양수진* (2023). 모의 양육 및 아동의 자기조절 특성이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아동학회지, 44(4), 485-498.
김정은, 양수진* (2023). 집단주의 맥락에서 한국형 삼차원 그릿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K-TMGS)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9(2), 197-226.
김예본, 김유니, 양수진* (2023). 부모소명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미취학 자녀와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 발달, 36(3), 1-19.
박선영, 강예모, 양수진* (2023). 상실 경험 중년의 향유신념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0(3), 53-65.
황예은, 최예라, 양수진* (2023). 중년의 그릿과 우울의 관계: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0(3), 205-216.
곽호경, 양수진* (2023). 노년기 SNS 이용목적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6(1), 1-21.
황지민, 송은빈, 양수진* (2023). 부모소명 예측요인 탐색: 어머니의 내적 특성과 관계적 변인을 중심으로. 발달지원연구, 12(1), 51-69.
엄지원, 양재원, 배유진, 양수진* (2023). 중년의 그릿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삶의 의미발견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생성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6(2), 1-23.
2022
Yang, H., Tng, G. Y., Khoo, S. S., & Yang, S.* (2022). Multidimensional profiles of addictive smartphone use: a latent profile analysis. Current Psychology, 41(12), 8410-8423.
Yang, H., Ng, W. Q., Yang, Y., & Yang, S.* (2022). Inconsistent Media Mediation and Problematic Smartphone Use in Preschoolers: Maternal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Moderators. Children, 9(6), 816.
곽호경, 조하나, 양수진* (2022). 초산모의 그릿(Grit)과 산후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9(3), 71-88.
박주하, 양수진* (2022). 미취학 자녀 양육모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판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발달, 35(3). 1-19.
배유진, 양수진* (2022). 다중지표 다중원인(MIMIC)분석을 통한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29(2), 137-164.
안주현, 양수진* (2022). 상실 경험 중년의 균형적 시간관, 의미재구성, 역경후 성장의 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38(2), 117-144.
오수진, 안주현, 양수진* (2022).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목표인식특성과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 실패공포, 숙달접근목표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9(1), 149-168.
오수진, 양수진* (2022). 성인진입기 음악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실패내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음악교육공학, 53, 71-92.
정지유, 김한샘, 양수진* (2022). 실패 마인드셋은 세대 간 전승되는가?:어머니의 행복감과 개방적 의사소통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28(3), 419-439.
2021
Yang, H., Tng, G. Y., Ng, W. Q., & Yang, S. (2021). Loneliness, sense of control, and risk of dementia in healthy older adults: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Clinical Gerontologist, 44(4), 392-405.
김다혜, 양수진* (2021). 취업준비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실패내성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8(3), 59-86.
김예본, 양수진* (2021). 중년기 전업주부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의미와 위기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논총, 37(2), 5-31.
김정은, 양수진* (2021). 그릿(Grit)과 열정은 변별되는가? 다집단요인분석을 이용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411-434.
박주하, 배유진, 양수진* (2021). 영아-걸음마기 자녀를 둔 초산모의 그릿과 행복감의 관계: 삶의 의미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4), 1-20.
소유경, 양수진* (2021).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4), 363-382.
이가영, 양수진* (2021). 우울한 여대생의 의도적 망각에서의 간섭 효과: 대체 사고에 따른 기분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0(3), 149-175.
이수란, 배유진, 양수진, 기쁘다 (2021). 한국형 부모소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4), 153-182.
이수란, 안태영, 박서단, 양수진* (2021). 한국형 그릿 척도(The Korean Version of GRIT: K-GRIT)개발 및 타당화: 측정학적 문제와 개념적 본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0(3), 351-387.
이혜선, 양수진* (2021). 대학생의 향유하기로 유도된 긍정정서가 주의 확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8(4), 115-133.
정다운, 양수진* (2021)대학생의 조화열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목표전략적 몰입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8(2), 25-46.
정예림, 김예본, 양수진* (2021) 초산모의 그릿(Grit), 배우자 지지와 연령 수준에 따른 양육 열정, 산후 우울, 행복의 차이.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5(3), 177-183.
정예림, 양수진* (2021).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K-CPSQ)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 60(3), 105-127.
진예민, 김다혜, 양수진* (2021).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그릿-열정 마인드셋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 집단별 심리특성 및 진로적응성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2), 167-189.
진예민, 배유진, 양수진* (2021). 대학생의 실패에 대한 반응성,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대학생의행복, 목표인식, 그릿, 연령,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3), 43-65.
진예민, 양수진* (2021).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연구, 28(4), 135-156.
한혜원, 양수진* (2021). 대학생의 물질주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 삶의 의미,행복감의 차이: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논총, 37(1), 251-273.
2020
Yang, H., Tng, G., Ng, W., Yang, S*. (2020). Loneliness, Sense of Control, and Risk of Dementia in Healthy Older Adults: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Clinical Gerontologist, 44(4), 392-405. (Impact factor: 2.24)
Yang, H., Wang, J., Tng G., & Yang, S.* (2020). Effects of Social Media and Smartphone Use on Body Esteem in Female Adolescents: Testing a Cognitive and Affective Model. Children, 21, 1-19.
박서단, 양수진* (2020).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열정마인드셋과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 183-213.
안태영, 박서단, 양수진* (2020). 그릿은 어떻게 길러지고 사회화되는가? 지각된 부모의 실패마인드셋 및 부모의 학업기대, 그리고 대학생의 실패내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발달, 33, 103-121.
안태영, 양수진* (2020). 그릿(Grit), 학업적 실패내성,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심리학회: 발달, 33, 103-125.
정수인, 양수진* (2020). 성인 초기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여성, 25, 49-69.
최서경, 양수진* (2020).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 23-46.
탁진선, 양수진* (2020).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개인 내외 자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사회 인지 진로 이론의 진로 만족 모형을 바탕으로, 인간발달연구, 27, 139-162.
한지은, 양수진* (2020). 대학생의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7, 161-181.
황예은, 양수진* (2020). 중년 근로자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삶의 의미와 은퇴불안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7, 163-184.
2019
Yang, S.*, Yang, H., & Hartanto, A. (2019). The effects of script variation, literacy skills, and immersion experience on executive attention: A comparison of matched monoscriptal and biscriptal bilinguals.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22(1), 142-156. (Impact factor: 3.01).
강문선, 양수진* (2019).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화.강박열정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발달, 32(2), 79-101.
박선영, 양수진* (2019). 대학생의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인간발달연구, 26(2), 107-130.
신가영,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6(2), 149-171.
이설악,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적응적,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6(4), 85-111.
이지현, 양수진* (2019).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2(4), 1-19.
정미라, 박주하, 한지은, 양수진* (2019).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개인 심리적 특성들에 따른 군집유형별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발달, 32(2), 127-148.
정지혜, 양수진* (2019).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2(3), 37-59.
최서경, 탁진선,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자율성 욕구와 우울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3), 245-265.
2018
Hartanto, A., Yang, H., & Yang, S. (2018). Bilingualism positively predicts mathematical competence: Evidence from two large-scale studi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1, 216-227. (Impact factor: 1.650).
Yang, H., Hartanto, A., & Yang, S.* (2018). Bilingualism confers advantages in task switching: Evidence from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Task.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21(5), 1091-1109. (Impact factor: 3.01).
김경원, 양수진* (2018).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발달, 31(3), 139-161.
김정은, 이수란, 양수진* (2018).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 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심리학회: 문화 및 사회문제, 24(2), 131-151.
최효선, 양수진* (2018). 고등학생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긍정심리자본(PPC)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발달, 31(2), 105-123.
최효선, 양수진* (2018). 대학생 성인 초기 여성의 젠더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여성, 23(3), 431-450.
2016~2017
류영주, 양수진* (2017).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발달, 30(4), 93-115.
Yang, H. & Yang, S. (2017). Are all interferences bad?: Bilingual advantages in working memory are modulated by varying demands for controlled processing.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20(1), 184-196. (Impact factor: 3.01).
Lust, B., Flynn, S., Blume, M., Park, S.W., Kang, C., Yang, S., & Kim, A-Y. (2016). Assessing child bilingualism: Direct assessment of bilingual syntax amends caretak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ism, 20(2), 153-172. (Impact factor: 0.966)
Yang, H., Hartanto, A., & Yang, S. (2016). The complex nature of bilinguals’ language usage modulates task-switching outcomes.Frontiers in Psych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 7:560. 1-8. DOI: 10.3389/fpsyg.2016.00560. (Impact factor: 2.8).
Yang, H., Hartanto, A., & Yang, S. (2016).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xperience in assessing bilingual advantages in executive functions, Cortex, 75, 237-240. (5 year Impact factor: 5.014).
Yang, H. & Yang, S.* (2016). Sympathy fuels creativity: The beneficial effect of sympathy on creative originality.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21, 132-143. (5 year Impact factor: 1.672).
Yang, S.*, & Yang, H. (2016). Bilingual effects on deployment of the attention system in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46, 121-136. (5 year Impact factor: 3.766)